LG화학과 GS칼텍스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전기자동차(EV) 배터리 특화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7월7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시그넷이브이, 소프트베리, 케이에스티 모빌리티, 그린카와 함께 충전 환경 개선 및 신규사업 기회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EV 생태계 발전을 위한 충전 솔루션 개발 필요성에 뜻을 같이 하고 EV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배터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EV 분야 파트너들과 함께 협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무협약에 따라 GS칼텍스와 LG화학은 배터리 안전진단 서비스를 개발하기로 했다.
배터리 안전진단 서비스는 EV가 GS칼텍스 충전소에서 충전을 진행하는 동안 주행 및 충전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LG화학 빅데이터 분석 및 배터리 서비스 알고리즘을 통해 배터리의 현재 상태와 위험성을 확인해 충전기는 물론 운전자 휴대폰에서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GS칼텍스와 LG화학은 2021년까지 실증 사업을 완료한 후 국내 서비스를 런칭하고 2022년부터 해외 충전 시장으로 배터리 특화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양사는 추후 배터리 안전진단 서비스를 기반으로 배터리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충전 및 잔존 수명 예측 등의 신규 서비스도 발굴하기로 했다.
서비스 개발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GS칼텍스 EV 충전소에서 배터리 안전진단, 퇴화 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된 스마트 충전, 잔존수명 예측 서비스 등을 원스톱 서비스로 받을 수 있게 된다.
GS칼텍스는 현재 전국 44개소 주유소 및 충전소에 100kW급 EV 충전기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고 2022년까지 100kW 이상 초급속 EV 충전기를 160개 수준으로 확장하고 자동차 관련 서비스도 확대하는 등 주유소를 중심으로 한 EV 생태계를 계속 확장시킬 계획이다.
LG화학은 최근 30년 동안 선제적인 R&D(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1만7000건 이상의 EV 배터리 특허를 확보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2019년 말 기준으로는 전세계 350만대에 달하는 EV에 배터리를 공급했고 장수명 배터리 기술과 수명 평가 역량을 확보해왔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