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 4사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1분기 수출이 1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한석유협회는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기업들의 1분기 석유제품 수출량이 9094만배럴로 전년동기대비 27.4% 감소하며 2011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갱신했다고 밝혔다.
수출액도 61억4300만달러로 18.9% 줄어들었다.
석유제품 수출 감소는 코로나19 사태로 글로벌 석유 수요가 급감함에 따라 국내 정유기업들이 가동률을 조정하며 대응한 결과로 분석되고 있다.
국내 정제가동률은 2020년 1분기 81.6%에서 2021년 1분기에는 72.0%로 낮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정유기업들은 2020년 코로나19로 최악의 영업실적 악화를 겪고 석유제품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에서도 국가별 수요 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에 대한 석유제품 수출량은 2021년 1분기 3360만배럴로 1위를 유지했으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6.9%로 2배 가까이 확대됐다. 중국이 다른 국가보다 코로나19 영향에서 먼저 벗어나며 석유제품 수요가 회복된 결과로 판단되고 있다.
일본 수출량은 1312만배럴로 전체의 14.4%를 차지하며 3위에서 2위로 올라섰다.
2월 후쿠시마(Fukushima)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현지 정제설비 가동이 중단되며 난방유인 등유 수출이 22.0% 급증한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수출은 전체의 8.8%를 차지하며 5위에서 3위로 올라섰다.
코로나19 여파로 항공유 수출이 99.0% 격감함에 따라 경유 수출을 2배 늘렸고 BP, 엑손모빌(ExxonMobil) 등이 현지 정유공장 폐쇄를 결정한데 맞추어 수출을 확대한데 따른 결과로 파악되고 있다.
미국에 대해서는 항공유 수출을 늘리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항공여행 수요가 회복됐기 때문이다.
미국교통안전청에 따르면, 미국 공항 이용고객은 1월 2360만명에서 3월 3805만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국내 항공유 전체 수출량 가운데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월 43.0%에서 2월 48.9%, 3월에는 83.0%로 확대됐다.
아울러 2020년에는 1분기 원유 도입단가가 수출단가보다 더 높아 정유기업들의 영업실적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2021년에는 수출단가가 배럴당 67.6달러로 원유 도입단가 58.1달러보다 높아져 수출 체질이 개선된 것으로 파악된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내 정유산업은 세계 5위의 정제능력을 갖추고 있어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하다”며 “수요와 정제마진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데 시간이 걸리겠지만 국가별 맞춤전략으로 경쟁할 것”이라고 강조햇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