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리튬 국산화에 나선다.
포스코는 4월 광석에서 수산화리튬을 추출해 생산하는 포스코리튬솔루션을 별도법인으로 출범시켰으며 5월26일 광양공장 착공에 나섬으로써 그동안 100% 수입에 의존하던 리튬을 국산화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스코리튬솔루션은 광양 율촌 산업단지 19만6000평방미터 부지에 7600억원을 투자해 수산화리튬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2023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은 전기자동차(EV) 100만대에 투입이 가능한 4만3000톤을 계획하고 있다. 원료 리튬 광석은 오스트레일리아 필바라(Pilbara Minerals)로부터 공급받는다.
수산화리튬은 니켈 함유량 80% 이상의 양극재에 쓰이는 주요 원료이다.
양극재 원료인 리튬은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으로 구분되며 탄산리튬 베이스 양극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니켈 함유량 80% 이상인 양극재가 개발되며 수산화리튬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중국 등에서 리튬을 전량 수입해왔으나 포스코 광양공장이 준공되면 안정적으로 리튬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전기자동차 시대에 대비해 2차전지 소재 사업을 그룹 차원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선제 투자와 기술 혁신으로 리튬을 양산하게 됐다”면서 “리튬 국산화는 포스코가 100년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요한 토대이자 국내 2차전지산업의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최근 아르헨티나에서 리튬 매장량이 확인된 염호에서도 2만5000톤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광석 및 염수 리튬 추출 사업에 중장기적으로 투자해 2023년 7만톤, 2026년 13만톤, 2030년 22만톤 생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