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3사는 글로벌 점유율이 6%포인트 넘게 하락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자동차(B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 하이브리드자동차(HEV)의 배터리 총사용량은 517.9GWh로 전년대비 71.8% 증가했다.
국내 3사는 성장세를 지속했으나 합계 점유율은 2021년 30.2%에서 2022년 23.7%로 6.5%포인트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사용량이 59.4GWh에서 70.4GWh로 18.5% 늘어 순위 2위는 유지했으나 시장점유율이 19.7%에서 13.6%로 6.1%포인트 하락했다.
시장점유율 5위 SK온과 6위 삼성SDI는 사용량이 각각 61.1%, 68.5% 늘었으나 점유율은 SK온이 5.7%에서 5.4%로, 삼성SDI가 4.8%에서 4.7%로 소폭 하락했다.
반면, 중국 배터리 생산기업들은 대부분 세자릿수 성장률을 달성하며 약진했다.
1위 CATL은 배터리 사용량이 99GWh에서 191.6GWh로 2배 가까이 늘며 점유율도 33.0%에서 37.0%로 뛰었고, 3위 BYD는 배터리 사용량이 70.4GWh로 167.1% 급증한 가운데 점유율 역시 8.7%에서 13.6%로 올라 LG에너지솔루션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점유율 7-10위에 포진한 CALB, 궈시안(Guoxuan), 선와다(Sunwoda), 파라시스(Farasis)는 모두 배터리 사용량이 2-3배 늘며 한국기업을 바짝 추격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는 CATL이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 BYD의 2위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10위 안에 있는 중국기업 6곳의 합산 점유율은 2021년 48.2%에서 2022년 60.4%로 오르며 절반을 넘어섰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시행하는 가운데 중국 셀 생산기업들은 중국시장을 벗어나 글로벌로 도약을 시작했다”며 “앞으로 한국 3사와 시장점유율 경쟁이 더욱 과열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