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석유화학산업은 1999년 기준 세계 에틸렌 생산능력의 5.5%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에틸렌유도품 환산 수출량의 15%를 점유하고 있다. 또 국내 제조업 총생산액의 4%를 점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자동차, 철강, 섬유와 함께 국내 5대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최대보다는 최고를 지향해야 하는 시점에서 석유화학산업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내기업은 고부가가치제품 및 기초공정기술 개발에 주력하기보다 과잉투자와 과당경쟁으로 일관해왔고, 세계화 추세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 미흡했다. 또 국제 환경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세계 5위권의 생산국이라는 위세는 찾아보기 힘들다. 석유화학산업의 특성은 기초유분과 관련 유도품 생산공장의 수직계열화 단지를 이루는 콤비나트형 산업이며, 대단위 시설투자가 필요한 자본집약형 장치산업이라는 점이다. 또 전방산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기간산업이며, 산업의 호황과 불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기순환적 특성도 가지고 있다. 표, 그래프 : | 한국 석유화학산업계의 당면과제 | 화학산업의 특성(환경적 측면) | 석유화학산업의 특성(산업적 측면) | 조직의 그린화 | Responsible Care 개념 및 출현배경 | 화학산업 관련 주요 환경이슈 | 청정생산 전략 | ICCA의 RC 관련 6개 실천지침 | RC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 화학산업의 주요 환경문제 | 사례 : Dow Chemical | 사례 : ICI | 기업가치와 환경경영전략 | <화학저널 2001/6/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백송칼럼] 한국 화학산업의 과제 | 2025-07-11 | ||
[백송칼럼] 화학산업의 3대 과제 | 2022-12-23 | ||
[백송칼럼] 화학산업의 미래 “바이오” | 2022-10-28 | ||
[석유화학] 일본 석유화학산업의 딜레마, 끝없는 구조개혁 피로감에도 탄소중립 목표 달성 서두른다! | 2022-03-11 | ||
[백송칼럼] 탄소중립과 화학산업의 미래 | 2022-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