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전극, 원형 복원성 기술 개발
재료연구소 김창수 박사팀, 은 나노선 활용 … 구기고 꼬아도 작동
화학뉴스 2014.06.02
국내 연구진이 옷처럼 아무렇게나 구기거나 꼬아도 작동하는 전자소자용 투명전극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재료연구소 소자기능 박막연구실 김창수·김동호 박사와 경북대 조성진 교수, 부산대 진성호 교수팀은 은 나노선을 이용한 투명전극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6월2일 발표했다. ![]()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소자는 단순 액세서리처럼 몸에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신체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첨단기술로, 옷처럼 입을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소자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종이를 프린트하는 원리를 이용해 빛을 받으면 굳는 광경화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기판 내부에 은 나노선을 넣어 투명전극을 만들었다. 개발한 전자소자는 높은 투명도와 전기전도도를 유지하면서도 표면이 매끄러워 옷처럼 1000번 이상 접거나 꼬아도 원형으로 복원하는 등 유연성까지 극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태양전지에 접목하면 구겨진 상태에서도 태양빛을 충전할 수 있다. 김창수 박사는 “개발된 기술을 통해 손목에 차는 스마트폰, 입을 수 있는 컴퓨터 같은 차세대 전자소자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구기거나 휘어지는 기술을 뛰어넘어 잡아당겨도 문제없는 투명전극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화학저널 2014/06/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삼성SDI, 원형 배터리 생산 확대 | 2022-07-21 | ||
[전자소재] 투명전극, 은 나노와이어계 개발 | 2018-06-01 | ||
[전자소재] 투명전극, 대체소재 개발 “끙끙” | 2016-12-01 | ||
[전자소재] 투명전극, 금속나노와이어 “선두” | 2016-01-12 | ||
[전자소재] 투명전극, 헤이즈 현상 해결… |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