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A, 중국수출 포기할 시점이다!
상반기 중국 수입 60만톤 불과 … 자급화 달성 이후 수출 우려도
화학뉴스 2014.08.20
중국은 합섬원료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있다.
특히,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는 중국 수입량이 2012년 하반기 170만2104톤에서 2013년 상반기 122만6235톤, 2013년 하반기에는 91만299톤, 2014년 상반기에도 60만5499톤을 기록해 PTA 수입이 100만톤을 하회하고 있다. ![]() 2012년 6월 36만6848톤을 수입했던 것과 비교해 2014년 6월에는 9만792톤으로 4분의 1 수준으로 대폭 감소했다. 중국이 생산능력을 확대하면서 자급률을 끌어올린 영향으로 중국수출 의존도도 2012년 하반기 75.8%, 2013년 상반기 65.6%, 2013년 하반기 52.6%, 2014년 상반기 31.6%로 떨어졌다. 국내 PTA 생산기업들은 중국이 생산능력을 확대함에 따라 유럽 등 새로운 수출처를 확보하고는 있으나 중국이 2014년 말에만 940만톤을 신규 가동할 예정이고 다운스트림인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도 수요 약세가 지속되고 있어 중국산 PTA가 수출 시장을 잠식할 가능성도 커 국내 PTA 생산기업들의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CPL(Caprolactam)도 자급률 상승으로 수입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카프로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은 CPL 수입량이 2012년 상반기 30만3528톤, 2013년 상반기 22만1438톤, 2013년 하반기 23만1452톤으로 소폭 감소했으며, 2014년 상반기에는 13만7765톤으로 20만톤에도 미치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2012년 상반기까지 2만1648톤을 중국으로 수출했으나 2012년 하반기 8000톤으로 급감한 이후 수출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 반면, AN(Acrylonitrile)과 MEG(Monoethylene Glycol)는 수입이 비교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중국은 MEG 수입이 2012년 하반기 383만2837톤, 2013년 상반기 411만8297톤, 2013년 하반기 412만7961톤, 2014년 상반기 431만3105톤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MEG의 중국 수출 의존도가 100%에 육박하고 있다. AN 수입은 2012년 하반기 28만9254톤, 2013년 상반기 28만8772톤, 2013년 하반기 25만8810톤, 2014년 상반기에는 26만6549톤으로 25-29만톤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 상반기 이후 중국으로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3년 하반기에는 12만9532톤을 기록했으나 2014년에는 9만2440톤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정은 기자> 표,그래프: < 합섬원료 중국수입 현황> <화학저널 2014/08/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TA, 중국 마진 적자로 불안 심화 | 2025-09-26 | ||
[석유화학] P-X, 불확실성과 PTA 수익 악화에 | 2025-09-25 | ||
[석유화학] PTA, P-X‧겨울 수요에 올랐지만… | 2025-08-29 | ||
[석유화학] PTA, 인디아 관세 직격탄에 흔들.. | 2025-08-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