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6년 친환경 자동차 보급을 적극화한다.
환경부는 2016년 전기자동차(EV) 8000대, 하이브리드자동차(HEV) 3만400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 3000대, 수소자동차 71대 등 4만1471대의 친환경 자동차를 보급할 예정이다.
보급대수를 2015년 3만3000대에 비해 25.7% 확대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 지원대수가 167% 가량 폭증했고 PHEV는 처음으로 포함됐다.
환경부는 EV(7900대) 구매자에게 보조금 1200만원, 완속충전기 설치비 400만원, 세금 40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별로 최소 300만원에서 최대 800만원까지 보조금을 추가 지급하기 때문에 준중형 EV인 SM3 Z.E(4190만원)는 적게는 1390만원에서 많게는 1890만원으로 구입할 수 있다. 해당 구매가격은 SM3 가솔린 자동차(1590만-1998만원)보다 저렴하다.
2016년 환경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EV는 기아자동차의 레이, SM3의 Z.E, 한국GM의 스파크와 라보 피스(전기화물자동차), BMW의 i3, 기아자동차의 쏘울, 닛산(Nissan)의 Leaf,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 등이다.
전기버스는 100대에 보조금 1억원이 지원되며 대상은 E-Primus, 올레브, E-Fibird 등이다.
환경부는 하이브리드자동차에는 구입 보조금 100만원을 지원하고 270만원의 세금감면 혜택을 부여할 예정으로 지원대상은 소나타 2.0, K5 2.0, 아이오닉 1.6, 프리우스 1.8, 렉서스 CT200h 1.8 등이다.
2016년 1월 출시된 친환경 자동차 전용모델인 현대 아이오닉과 함께 앞으로 출시될 친환경 자동차 전용모델인 기아자동차의 니로도 보급대상에 포함된다.
환경부는 PHEV는 구입보조금 500만원과 270만원의 세금감면 혜택을 새로 마련했다. 지원대상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50g/㎞ 이하이면서 1회 충전 주행거리가 30㎞ 이상이자 2000㏄ 이하 자동차이다.
현재 지원대상은 쏘나타 2.0 PHEV 뿐이지만 2016년 기아자동차 K5와 현대 아이오닉 PHEV가 추가될 예정이다.
수소자동차는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법인을 대상으로 71대에 한해 구매보조금 2750만원을 지원한다. 환경부는 수소자동차가 전기자동차와 동일하게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할 방침이다.
전기자동차 구입은 지자체에서 보급 공고를 낸 이후 구매 희망자가 구매신청서를 자동차기업 지정 대리점에 접수해야 하며 추첨이나 선착순으로 구매자를 결정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최근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친환경 자동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20년까지 보급대수 108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2020년 판매대수 170만대 가운데 친환경 자동차가 20%(34만대)를 차지할 것”이라며 “보급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충전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