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케어]

세계적으로 식품 관련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식품첨가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인 CODEX위원회는 2017년 6월 이태리 로마에서 개최된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정기회의에서 식품 안전을 테마로 한 「세계 식품안전데이」를 유엔총회에 제안하기로 결정했다.
제안이 채택되면 2018년 6월7일은 국제적으로 식품 안전을 계몽하는 날로 지정된다.
일본에서는 식품 및 식품첨가물의 규격기준을 정하는 「식품첨가물 공정서」 제9판 개정작업이 최종단계에 있으며 2018년에도 식품위생법도 개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규제, HACCP 등 식품 위생관리 기준을 국제규격에 맞게 개정할 방침이다.

 

감미료, 기능성 당질로 인지도 상승
감미료는 일반적으로 설탕, 포도당, 과당 등을 지칭하나 식품으로 취급되고 있으며 식품첨가물은 주로 식품 속에 생기는 효모의 영양원이 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크게 고감미도와 저감미도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식품가공 목적 외에 건강상 관점에서 성인병 예방, 충치 방지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 기능성 당질로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
일본은 이성화당 수요가 120만톤 이상으로 주력인 저감미도 감미료 가운데 출하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솔비톨(Sorbitol)이 약 10만톤으로 뒤를 잇고 있다.
프락토올리고당(Fructo Oligosaccharide), 락토올리고당(Lactosucrose),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 Oligosaccharide), 자일로올리고당(Xylo Oligosaccharide), 갈락토올리고당(Galacto Oligosaccharide) 등 올리고당은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총수요가 2만2000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감미도 감미료는 감미료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사람이 느끼는 감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감미 특성이 다른 타입을 조합해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아스파탐(Aspartame) 및 아세설팜(Acesulfame)은 수요가 약 1000톤, 천연계인 스테비아 및 감초 추출물은 약 200톤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본, 감미료 인기도 갈수록 “시들”
일본 감미료 시장은 저성장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설탕 및 이성화당 시장은 1989년 263만톤을 절정으로 수요가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이성화당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며 총수요가 197만톤으로 전년대비 0.3%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1인당 소비량은 15.5kg으로 정체된 것으로 파악된다.
앞으로도 고감도 감미료를 비롯한 기능성 당질 분야에서 설탕 대체 감미료 전환이 진행됨에 따라 저성장 및 시장 축소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감도 감미료는 설탕 대체목적 외에도 저칼로리성, 가공식품·청량음료 등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감미설계 용도로 투입되고 있으며 여러 감미료를 각각의 특성을 살려 혼합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은 아스파탐 수입량이 2016년 95톤으로 39% 격감했다. 주로 한국, 중국, 프랑스산을 수입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우루과이산 유입이 확대되고 있다.
아세설팜은 2016년 수입량이 526톤으로 9.1% 늘어났다. 전체 수입의 90%를 독일, 중국산이 장악하고 있으며 독일산은 매년 300톤 전후를 나타내고 있고, 중국산은 최근 증가세를 지속하며 2016년 213톤으로 34% 늘어났다.
사카린 수입은 500톤 전후로 2016년에는 503톤으로 4.4% 증가했다. 중국산 수입량이 483톤으로 8.3% 늘어나며 대부분을 차지했고 한국산을 대체하고 있다.
수크랄로스(Sucralose)는 중국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6년 수입이 23톤으로 21.9% 늘어났다.

 

산미료, 탄산음료 중심으로 안정성장
산미료는 과일 등에 함유된 유기산류 성분을 공업적으로 생산해 탄산음료, 가공식품에 산미를 부여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체 식품첨가물 수요의 약 2%를 차지하고 있으며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사과산(Malic Acid)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어 산화방지, pH 조절기능 등이 있으며 팽창제용 산제, 중화제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은 무인 합성세제 원료 등 공업용 수요가 꾸준히 신장하고 있어 세계수요가 약 200만톤에 달하고 있다.
산미료는 구연산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연산염을 포함해 총수요가 약 2만7000톤으로 파악되고 있다.
젖산은 젖산염을 포함한 수요가 약 1만7000톤으로 주로 양조, 음료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기합성화학, 분석용 시약, 의약품 원료 등으로도 투입되고 있고 최근에는 생분해성 플래스틱 원료로 일부 응용되고 있다.
사과산은 공업적으로 MA(Maleic Anhydride), 푸마르산(Fumaric Acid)을 이용해 생산하며 일본수요는 약 5000톤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조미료, 글루탐산나트륨 보급 확대
조미료는 가공식품의 맛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품첨가물로 주로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이노신산(Inosinic Acid)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조미료로 가공식품에 일괄 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미노산(Amino Acid), 핵산(Nucleic Acid), 유기산(Organic Acid), 무기염 뿐이며 아미노산계는 글루탐산나트륨(Monosodium Glutamate)이 대표적이다.
L-글루탐산나트륨은 각종 스프, 소스, 소시지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업무용, 가정용으로도 보급되고 있어 소비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식품첨가물로 자리 잡고 있다. 일본수요는 약 12만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핵산계 조미료는 이노신산나트륨(Sodium Inosinate)이 대표적이며 일본수요가 약 5000톤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진액계 조미료 수요가 12만톤 이상으로 글루타민산염과 동일한 수준을 형성하고 있으며 효모 진액 조미료도 보급됨에 따라 수요가 신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점안정제, 원료 안정조달이 과제
증점안정제는 윤기, 점성 등을 부여하는 용도로 가공식품에 첨가하며 동물 외에 종자, 해조 등 다양한 천연물을 원료로 사용함에 따라 안정조달이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고 있다.
일본수요는 약 3만5000톤으로 동물성 단백질인 젤라틴이 가장 많고 종자다당류가 뒤를 잇고 있다.
젤라틴 수요는 약 1만2000톤으로 일본 증점안정제 시장의 40%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종자다당류는 잔탄검(Xanthan Gum)을 비롯해 구아검(Guar Gum), 타마린드검(Tamarind (seed) Gum), 타라검(Tara Gum),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등이 사용되고 있다.
식품첨가물용 수요는 약 8000톤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향료, 화장품, 공업 용도로도 투입되고 있다.
젤라틴은 주로 돼지가죽, 소가죽, 소뼈를 원료로 생산하고 있으며 종자다당류도 천연물을 원료로 사용함에 따라 가격 및 공급이 변동할 리스크가 있어 안정적인 조달이 중요해지고 있다.
합성계는 해조에 포함된 나트륨염을 추출해 얻는 알길산나트륨(Sodium Alginate)이 대표적이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Alginate)은 알코올(Alcohol)에 녹지 않아 잼, 소스, 빙과 등의 안정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일본수요는 약 1000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화방지제, 풍미·외관 열화 방지
산화방지제는 식품의 유지 성분이 공기와 접촉해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외관상 열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영양소 감소 및 산화에 따라 식품에서 생성돼 건강상 리스크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과산화물 발생을 막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유용성과 수용성으로 크게 구분되며 탄산음료 용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본수요는 약 4000톤으로 수용성인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L-아스코르브산나트륨(Sodium L-Ascorbate)이 탄산음료 외에 과일통조림, 잼 등에 투입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L-아스코르브산은 비타민제로도 사용되며 산화방지제용 수요는 2900톤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뒤이어 에리소르빈산(Erythorbic Acid), 에리소르빈산나트륨(Sodium Erythorbate)은 약 500톤 수요를 형성하고 있다.
유용성 갈산에스테르(Gallate), 토코페롤(Tocopherol),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등이 있으며 비타민제 등 영양을 강화하는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보존료, 대체소재로 보존향상제 투입
보존료는 기타 보존 목적의 식품첨가제와 마찬가지로 가공식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미생물에 따른 부패 및 변질 방지, 식중독 예방이 목적이기 때문에 식품마다 다른 사용기준이 규정되고 있다.
합성물은 벤조산(Benzoic Acid)등 비롯해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 소르빈산(Sorbic Acid),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Para Oxy Benzoic Acid Ester) 등이 있으며 일본수요는 약 1500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천연물로는 사철쑥 추출물, 생선 단백질 추출물, 펙틴(Pectin) 등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존료는 소비자에 대한 이미지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보존료를 사용하지 않는 식품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존기간을 짧게 설정한 보존향상제가 투입되고 있다.
보존향상제는 몇 시간에서 며칠동안 보존료의 기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주로 편의점 도시락 등에 채용되고 있으며 주로 복수의 향상제를 제제화해 공급하고 있다.
합성제품으로는 글리신(Glycine), 초산나트륨(Sodium Acetate), 천연첨가물로는 키토산, 차 추출물, 유카거품 추출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유화제, 유지·수분 균일화에 필수적
유화제는 식품 가공 시 원자재에 함유된 유지, 수분 등을 유화·균일화하는 기능을 하며 기포제, 소포제 등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합성계인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와 천연계인 레시틴(Lecithin)으로 분류되며 일본수요는 약 2만2000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지방산 디글리세사이드(Diglyceride),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등 3개 타입이 있으며 모노글리세라이드 수요는 약 1만톤에 달하고 있다.
액상식품의 안정화, 전분·단백질식품의 개질 같은 식품 용도에 이어 공업용 유화제, 플래스틱 가소제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레시틴류는 대두, 유채, 해바라기를 비롯한 식물 레시틴과 분별 레시틴, 난황 레시틴, 효소처리 레시틴, 효소분해 레시틴 등 5개 타입이 있다.
일본은 개량제품을 포함해 총수요가 1만톤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대두 레시틴이 약 7000톤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레시틴은 초콜릿, 캐러멜 등 제과를 비롯해 마가린, 쇼트닝, 마카로니 등 식품 용도 뿐만 아니라 의약품, 인쇄잉크, 피혁 용도로도 투입되고 있다.

 

식품향료, 다양한 조합으로 신제품 창출
식품향료는 식품을 가공할 때 소실된 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종류가 많아 조합에 따라 여러 신제품이 창출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식품향료가 식품첨가제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중량 기준으로 약 1%에 불과하나 매출 기준으로는 12%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식품향료 시장은 2016년 생산량과 수입량이 총 5만톤 수준으로 전년대비 3.7% 증가했다.
다만, 식품향료는 기후에 따른 영향이 큰 단점이 있다.
탄산음료용 수요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천연향료 원료 생산량에 따라 조달가격이 변동되기 때문이다.
또 식품향료는 일본이 약 3100개, 미국이 약 2200개, 유럽연합(EU)이 2700개를 보유하고 있어 종류가 총 8000개에 달하고 있으나 공통되는 향료는 1500개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적인 식품 유통 시대에 미인가제품이 유통될 우려가 있어 중장기적으로 다국간 공통된 규제 체제를 확립할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규제당국 사이에서 안전성 데이터 평가방법 개선을 검토하는 움직임 등이 나타나고 있다.

 

착색료, 소비자 요구로 천연계 채용 확대
착색료는 식품 본연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색을 정돈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며 신선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
식용 타르색소인 합성색소와 캐러멜색소를 비롯한 천연색소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캐러멜색소 사용량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식용 타르색소는 황색 4호, 5호, 적색 102호, 청색 1호 등이 대표적이며 소량으로도 발색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천연계 착색료가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색소가 등장하고 있다.
주로 식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천연색소는 타르색소를 대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다.
건강식품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소비자 니즈에 따라 채용이 확대되고 있어 가공식품, 탄산음료를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신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은 착색료 수요가 약 2만2000톤을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천연계인 캐러멜색소 수요가 약 1만9000톤으로 90%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탄산음료용이 대부분이며 알코올성 음료, 햄·소시지, 캐러멜·시럽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영양강화제, 부족한 영양성분 보충
영양강화제는 영양성분을 보충할 목적으로 사용하며 아미노산류, 비타민류, 무기염류 등을 포함해 총 84종류가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식량 사정이 좋지 않았던 시기에 부족한 영양분을 적극적으로 보충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쌀, 보리, 밀 등 주식에 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일본은 탄산칼슘 수요가 1만3000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비타민C가 약 5000톤으로 뒤를 잇고 있다.
비타민C는 영양 강화 외에 풍미 유지, 변색 방지 등의 효과가 있으며 밀가루 글루텐 성질 개량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어 수입량이 약 1만2000톤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밖에 젖산칼슘, 천연칼슘, 니코틴산(Nicotinic Acid),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판토텐산나트륨(Sodium Pantothenate), 비오틴(Biotin) 등이 영양강화제로 활용되고 있다.


표, 그래프: <일본의 인공 감미료 수입동향>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안전/사고] 화학산업, 위험물 용기 안전성 강화 2025-02-07  
[EP/컴파운딩] 바스프, PPA로 EV 안전성 “강화” 2025-01-17  
[안전/사고] GS·롯데, 위험물 안전성 입증 2024-10-24  
[배터리]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조기 시행 2024-10-16  
[배터리] 배터리, 화재 안전성 확보 시급하다! 2024-08-12  
SPECIALTY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