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효소시장은 320억원 규모로, 이 중 일부 의약용 효소 및 전분당 효소 등을 제외한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효소 생산은 알콜발효공업에서의 전분분해효소와 제약공업의 소화효소제 생산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는데, 생산 기업이 영세하고 기술이 낙후해 있어 사용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원료용 효소 주 수입처는 덴마크의 Novo가 50% 이상을 점유, 연간 약 100억원 상당을 국내에 판매했고, 일본의 Daiwa·Amano 등에서 약 25억원, 기타 유럽 및 미국에서 약 25억원을 판매했다. 원료 및 제품을 포함한 효소의 연도별 수입현황을 보면 89년 2760만달러, 90년 3359만달러(21.7% 증가), 91년 3722만달러, 92년 3787만달러로 전년대비 각각 10.8%, 1.8% 증가했다. 표, 그래프 : | 국내 효소 수입현황 | 합성세제용 효소 소비량 | 국내 주요 효소생산기업 | 국내효소 시장 규모(1992) | 의약용 원료 효소 생산추이 | 선진국과 한국의 효소산업기술 개발동향 비교 | 세계 효소 및 효소관련 시장 규모 | 국내의약용 효소 시장 규모(1992) | <화학저널 1993/9/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식품소재] 효소, 산업용 바이오 솔루션 확대 | 2025-06-17 | ||
[정밀화학] CJ제일제당, 바이오 PET 분해효소 개발 | 2025-01-03 | ||
[환경화학] 이산화탄소, 효소로 바다에 녹인다! | 2024-09-19 | ||
[리사이클] PE, 친환경 생분해 효소 개발 | 2024-08-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식품소재] 효소, 생성형 AI 활용해 바이오화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