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10월 14일
폴리올, 중국 생산량 급격히 확대
중국은 PU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폴리올(Polyether Polyol)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2006년에는 폴리올 생산능력 133만톤에 80만톤 생산에 그쳤으나 2011년에는 생산능력이 272만톤으로 100% 이상 확대됐고 생산량도 173만톤에 달했다. 하지만, 가동률은 63%에 불과했다. 폴리올 생산은 지역 편중이 심해 동부지역이 136만톤 이상으로 총 생산능력의 50%를 차지한 반면, 남부지역이 44만톤으로 16%에 불과했다. 폴리올 생산기업들은 PO(Propylene Oxide) 신증설에 맞추어 2015년까지 폴리올 133만톤을 증설함으로써 총 생산능력을 405만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메이저인 Yantai Wanhua Polyurethanes이 30만톤, Nanjing Kumho GPRO Chemical이 15만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2011년 폴리올 수요는 186만톤으로 PU폼 제조용으로 84%를 사용했다. 연질폼용이 85만톤으로 46%, 경질폼용이 70만5000톤으로 38%를 차지했다. 폴리올 수입은 2007년 20만톤에서 2010년 30만톤으로 급증했으나, 생산능력을 확대함에 따라 2011년에는 35만4000톤으로 줄어든 반면 수출은 22만4000톤으로 증가했다. 중국은 폴리올 수요가 2006-2010년 연평균 14-16% 증가했으나 2011-2015년에는 9-10%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표, 그래프: <중국의 Polyether Polyol 생산능력(2011)><중국의 Polyether Polyol 수급동향><중국의 Polyether Polyol 증설계획(2011)><글로벌 Polyether Polyol 메이저의 생산능력(2011)><중국의 TDI 생산능력(2012)><중국의 TDI 수요비중(2011)><중국의 TDI 수입비중(2011)><중국의 MDI 생산능력(2012)><중국의 MDI 수입비중(2011)><중국의 MDI 수출비중(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다우, PU 순환체제를 자동차로 확장한다! | 2025-11-06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화학] 제지화학 ②, 발효용 균주 개발로 활로 에탄올로 화학제품 생산한다! | 2025-11-21 | ||
| [EP/컴파운딩] 우레탄 ②, 일본, 감산에도 수익성 악화 자동차·주택경기 침체 “심각” | 2025-11-21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②, 일본 AI 기판용 수요 급증 스페셜티로 경쟁력 강화한다! | 2025-11-14 | ||
| [금속화학/실리콘] 실리콘 ②, 고부가화가 경쟁력 원천 일본, 기술개발 선도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