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바이오연구원, 벼 부산물 활용 … 고부가가치 매출 7500억원 기대
화학뉴스 2014.08.18
전남도는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원이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벼 부산물인 왕겨를 활용한 나노 실리카(Silica) 생산기술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8월18일 발표했다.
나노바이오연구원은 전학제 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보유한 원천특허를 바탕으로 전남대학교 화학과 한종수 교수팀과 나노바이오연구원이 8년 동안 연구한 끝에 순도가 높은 미세구조 나노실리카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나노실리카는 규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실리카를 나노미터 수준의 미세구조로 제조한 것으로 전자부품소재, 타이어, 화장품, 페인트, 의약, 농화학분야 첨가재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연구원은 왕겨에서 중금속 등 불순물을 제거하고 높은 온도에서 태운 다음 산화시켜 고순도 나노실리카 생산에 성공했다. 왕겨 실리카는 자연에서 얻은 천연 소재로 화장품, 식품첨가제 등에 사용되고 있는 기존 화학 합성실리카를 상당부분 대체할 수 있으며, 왕겨 실리카에만 존재하는 4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이용하면 의료용이나, 수처리용 필터 등 고부가가치제품 개발이 가능해 앞으로 응용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나노실리카 제조기술은 8월18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서 민간기업에게 이전되며 전남 장성에 50억원을 투입해 공장을 건설해 나노실리카를 본격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노바이오연구원 관계자는 “나노실리카를 kg당 3만원 상당의 고부가가치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면 왕겨 활용 나노실리카 매출액은 7500억원에 달할 것”이라며 “왕겨 나노실리카 제조기술 산업화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선도적인 시도”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4/08/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필름, 배터리‧친환경 대응 강화하라! | 2025-09-24 | ||
[자동차소재] HS효성, 친환경 타이어 소재 개발 | 2025-09-23 | ||
[전자소재] 바스프, 퀀텀닷 디스플레이 친환경화 | 2025-09-22 | ||
[올레핀] 에스테르, 친환경 프로세스 개발 | 2025-09-1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EPS, 재활용으로 친환경 소재화 일본, 유효이용률 제고한다! | 2025-09-1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